본문 바로가기

성경책 읽기

에스라 요약 정리

 

 

에스라서는 유대 민족이 바벨론 포로 생활을 마치고 예루살렘으로 돌아와 성전을 재건하고 율법을 회복하는 과정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 책은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한 귀환과 종교적 개혁을 중심으로 전개되며,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성전 재건 (에스라 1-6장)

1. 바벨론에서의 귀환 명령 (1장)

바사 왕 고레스 (키루스 2세)는 주전 538년에 칙령을 내려 유다 백성이 예루살렘으로 돌아가 성전을 재건할 수 있도록 허락합니다. 이는 예레미야의 예언이 성취된 사건으로, 고레스는 하나님의 감동을 받아 이스라엘 백성에게 귀환을 독려합니다. 고레스는 성전 기구들을 돌려주며 성전 건축을 적극 지원합니다. 

2. 첫 번째 귀환과 명단 (2장)

첫 번째 귀환은 총동 스룹바벨과 대제사장 예수아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약 5만명에 이르는 유다 백성이 돌아옵니다. 귀환자 명단에서 제사장, 레위인, 성전 봉사자 등의 포함되어 있으며, 각 가문의 수와 인원이 상세히 기록되어 있습니다. 

3. 성전 건축 시작 (3장)

예루살렘에 돌아온 유다 백성은 먼저 제단을 세우고 번제를 드리며, 초막절을 지킵니다. 이후 성전 기초를 놓기 시작하며 기쁨과 슬픔이 교차하는 장면이 펼쳐집니다. 젊은 세대는 환호하지만, 옛 성전을 기억하는 노인들은 눈물을 흘립니다. 

4. 방해와 성전 건축 중단 (4장) 

예루살렘 성전 재건이 시작되자, 사마리아 사람들과 주변 민족들이 방해합니다. 그들은 고레스의 명령을 무시하도록 설득하고, 다리오왕에게 성전 건축의 정당성을 문제 삼아 공사를 중단 시킵니다. 

5. 성전 재건 재개 (5-6장)

선지자 학개와 스가랴의 격려로 공사가 재개됩니다. 다리오 왕은 고레스의 명령을 확인하고 성전 재건을 지원하라는 조서를 내립니다. 결국 주전 516년에 성전이 완공되고, 유월절을 기념하며 하나님의 구원을 찬양합니다. 

*에스라의 귀환과 율법 개혁 (7-10장)

1. 에스라의 등장과 두 번째 귀한 (7장) 

약 60여 년 후, 바사 왕 아닥사스다(아르타크세르크세르) 통치 시기에 확자이자 제사 장인 에스라가 등장합니다. 그는 율법에 능통하며, 율법 교육과 종교 개혁을 위해 귀환합니다. 왕의 명령으로 은과 금이 지원되며, 에스라는 레위인과 제사장들을 데리고 예루살렘으로 향합니다. 

2. 귀환 여정과 하나님의 도우심 (8장)

예스라는 금식하며 하나님의 보호를 간구하고, 무사히 예루살렘에 도착합니다. 도착 후 성전 창고에 기부물과 성전 기물을 봉헌하며 하나님의 인도하심을 찬양합니다. 

3. 이방인과의 혼인 문제 (9장) 

예루살렘에 도착한 에스라는 이스라엘 백성이 이방 여자와 결혼하여 하나님의 율법을 어긴 사실을 알게 됩니다. 그는 큰 슬픔에 빠져 하나님 앞에 회개하며 기도합니다. 에스라는 이 문제를 심각하게 여기며 공동체의 거룩성을 회복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4. 백성의 회개와 개혁 조치 (10장) 

에스라의 기도와 탄원으로 인해 백성들은 회개하며 이방 아내를 내보내기로 결단합니다. 각 가분별로 조사를 통해 이방 아내를 내보내기로 결단합니다. 각 가문별로 조사를 통해 이방 여인과의 결혼 문제를 해결하고, 하나님의 언약을 지키려는 의지를 다집니다. 

신학적 주제와 교훈 

1. 하나님의 주권과 약속의 성취

고레스의 칙령과 성전 재건은 하나님의 주권적인 역사 개입을 보여줍니다. 예레미야의 예언대로 포로 생활이 끝나고 귀환이 이루어진것은 하나님의 약속이 신실하게 이루어졌음을 강조합니다. 

2. 신앙 공동체의 정결함 

에스라는 백성의 영적 순결을 회복하는데 중점을 둡니다. 이방 결혼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신앙의 순수성을 되찾고자 합니다. 이는 하나님의 거룩함을 지키려는 공동체의 책임을 강조합니다. 

3. 율법 교육의 중요성 

에스라는 율법을 가르치고 백성이 하나님의 말씀을 중심으로 살아가도록 노력합니다. 이는 신앙의 부흥과 개혁이 하나님의 말씀으로부터 시작된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4. 회개와 순종

에스라는 죄를 깨닫고 회개하는 삶을 보여줍니다. 공동체가 하나님의 뜻을 어길 때, 지도자의 영적 책임과 역할이 얼마나 중요한지 강조하며, 백성의 자발적 순정이 회복의 시작임을 보여줍니다.

결론 

에스라서는 바벨론 포로에서 돌아온 유다 백성이 성전을 재건하고 율법을 중심으로 공동체를 정비하는 과정을 기록한 책입니다. 하나님의 인도와 섭리를 중심으로 한 역사적 사건들은 신앙의 본질을 회복하는 데 있어 순결과 말씀 중심의 삶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일깨워 줍니다. 에스라의 헌신과 지도력은 오늘날에도 신앙 공동체를 이끌어가는데 중요한 본보기가 되며, 하나님의 말씀을 최우선으로 삼고 거룩함을 지키는 삻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반응형

'성경책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스더 요약 정리  (0) 2025.03.25
느헤미야 요약 정리  (2) 2025.03.24
역대하 요약 정리  (2) 2025.03.19
역대상 요약 정리  (1) 2025.03.19
열왕기하 요약 정리  (0) 2025.03.18